네덜란드 신경과학 연구소(Netherlands Institute for Neuroscience)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rije Universiteit Amsterdam)의 공동 연구팀의 (2025년 최근 발표논문) 최근 연구를 보면 3가지 질환 모두 공통된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1 대외피질의 표면적 감소
2 시상(thalamus)부피 감소
3 뇌 영역간 연결성 약화
즉 뇌의 여러 기능적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위축과
뇌회로의 연결성이 약화 되는 증상이 공통으로 나타났습니다
편도체-해마-내측 전전두엽 피질회로 이상
감정, 스트레스, 기억, 수면리듬을 모두 조절하는
핵심감정 네트워크
이제 증상만 보지 마세요
마음만의 문제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편도체-전전두엽 피질의 신경회로 문제
뇌신경 과민증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뇌신경과민증으로
나타나는 마음증상
뇌신경과민증이 생기면
여러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증 뿐만 아니라
기분조절장애,
ADHD, 학습장애
중독증, 그리고
수면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첫 만남에서 일상회복까지의 여정
공황장애와 합병증
공황발작
강렬한 공황장상이 나타나는 것을 공황발작이라고 합니다. 심장이 두근거리고, 호흡은 힘들고 땀은 나고 죽을것만 같은 느낌이 듭니다. 숨막히는 느낌과 가슴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어지럽고 몸이 떨리고 몸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 수도 있습니다. 갑자기 발작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예기불안 회피행동
공황발작을 경험한 후 그에 따른 두려움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공황발작이 또 생길까봐 두려워하는 것을 예기불안이라고 하며, 공황이 나타났던 장소나 시간대 등 비슷한 상황을 회피하는 것을 회피행동이라고 합니다.
우울증 합병증
불안 공포증 자율신경장애 약물의존
공포감이 이어지게 되면 몸과 마음이 너무나도 힘들어집니다. 자연히 우울감이 따라오게 됩니다. 공포증과 불안장애 역시 함께 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이 무기력해지다보니 술에 의존하거나 약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발생합니다.
첫 만남에서 일상회복까지의 여정
새로운 관점, 특별한 치료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신경전달체계 집중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GABA 등)과 호르몬이상, 생체리듬 변화에 집중합니다. 또한 전두엽과 기저핵, 시상하부와 대뇌피질을 잇는 뇌회로의 이상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뇌에 정상적인 뇌상태를 인식시키는 치료시간이 필요합니다.
복약중인 약이 있다면 병행치료 가능
현재 약을 복약중 내원하여 본원의 치료를 원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약을 끊기 두려우신 경우 복약중인 약과 병행치료도 당연히 가능할 뿐 아니라 약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드시고 계신 약을 갑자기 끊지 않고 서서히 줄이면서 단약까지 함께 합니다. 최대한 힘드시지 않게 관리하고 도와드립니다.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안정적인 상황이 유지될수 있는 유지관리치료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프지 않은 치료
아무리 좋은 치료법이 있더라도 너무 통증이 심해 치료 받기 어려우면 효과를 낼 수 없습니다. 본원은 약침시술의 경우 통증에 민감하시다면 micro-needle을 이용하여 밴드를 붙이는 정도의 느낌으로 약침시술을 하거나 미세한 전류침을 이용하여 약간의 느낌만으로 충분히 전두엽부위를 치료하는 등 충분히 받을수 있는 치료를 지향합니다
전두엽치료를 위한 다양한 치료옵션
일반적인 한약처방이나 침치료만 하는것이 아닙니다. 미세전류침치료, 두침치료,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약침치료, 척추고주파치료, 안심액, 억간, 청뇌 등의 다양한 환산제나 시럽한약, 경두개천골요법, BR오일치료 등으로 전두엽과 과민한 뇌를 안정시키는 맞춤치료가 가능합니다.
과학적인 원리와 한의학의 접목
뇌파를 체크하고 혈관건강도와 맥파를 체크는 과학적 검사와 맥진 설진 복진 등 한의학적 진단을 통해 질환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개인별 1:1 맞춤치료와 체계적인 관리를 돕습니다.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안정적인 상황이 유지될수 있는 유지관리치료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뇌신경의 예민함을 낮추면 됩니다
공황장애는 치료가 잘되는 질환입니다
첫 만남에서 일상회복까지의 여정
뇌신경 공황장애 연구사례
정신장애를 위한 두침, 경두개 자극치료 (NeuroAcupuncture)
미국에서도 두피자극과 관련한 치료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ADHD 불안장애 자폐 양극성장애 강박장애 우울증 등에 대하여 뇌영상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하여 치료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에서도 내측 전두엽과 배측외측 전전두엽에서 공통적인 병리부위가 나타났습니다.
(출처) Cao, J., Chai-Zhang, T.C., Huang, Y. et al. Potential scalp stimulation targets for mental disorders: evidence from neuroimaging studies
Green area : brain surface regions identified from meta-analyses (point:10-20 EEG system)
불안치료에 전침술의 침술의 효과
불안 치료에 있어서 전침술과 침술의 효과
– 이중맹검 무작위 병행 임상 시험
(출처)
Electroacupuncture and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anxiety – A double blinded randomized parallel clinical trial
Diogo Amorim a b, Irma Brito c, Armando Caseiro
침치료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모델에 신호전달
침술은 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모델에서 mTOR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합니다.
(출처) Acupuncture modulates stress response by the mTOR signaling pathway in a ra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odel
편도체 해마 내측전전두엽 대뇌피질 연구
많은 연구 결과 편도체와 해마, 내측 전전두엽의 대뇌피질의 회로에 문제가 생길 경우 감정, 스트레스 반응, 기억, 수면리듬을 모두 조절하는 핵심감정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한 회로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기능저하가 생기면 우울-불면-불안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증상이 나타날수 있기 때문에 이들 질환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치료전략이 효과적이라고 나타나고 있습니다.
amygdala–hippocampus–medial prefrontal cortex
(출처) OBJECTIVE: Educators will understand the impact of stress on the developing brain.
위 내용은 모르셔도 괜찮습니다
뇌신경 과민증상이 생기면 '공황장애 심장두근거림' 증상이 생길수 있구나
이것 하나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첫 만남에서 일상회복까지의 여정
특별한 검사법
종합심리검사
임상에서 환자분을 만나다보면 심리증상이 하나의 성향만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우울적인 성향을 보이면서 불안증상이 동반되고 수면문제가 함께 나타단다던지, ADHD성향을 보이면서 강박증과 분노공격성이 잇다던지, 중독증상과 자살증상이 있다던지 항상 복합적인 심리성향을 나타냅니다.
본원에서는 하나의 심리검사를 하기보다 우선 종합심리검사를 통해서 드러난 성향을 우선 분석하고 기준치(60~70점)을 넘어선 항목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집중심리검사를 시행합니다.
두뇌의 파장을 측정하여 종합적인 브레인 스코어를 측정하고 두뇌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지 부하도가 심한지 어떤 파장이 우세하여 해당 파장의 영향을 받는지 브레인 스트레스지수는 어떠한지, 브레인의 밸런스가 잘 맞는지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측정합니다.